본문 바로가기
교육

초등 사고력 수학 꼭 해야할까?

by Jeeny 2022. 7. 18.
반응형

유아, 초등학교 학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들어봤을 법한 사고력 수학!
아마 한 번쯤 들어봤다면 교과 수학과는 다른 종류라는 것으로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사고력(思考力) : 생각하고 궁리하는 힘이라는 뜻을 지닌 단어에서 보듯이 사고력 수학을 해야 한다는 것은 수학 문제를 볼 때 생각하고 궁리해 볼 수 있는 문제들을 접함으로 그 힘을 기르고자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그러면 사고력 문제라는 것이 별도로 존재할까?

1. 사고를 키우는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1+1=2의 연산부터 배우는 우리 아이들의 수학은 먼저 한 자릿수부터 배운 뒤, 10을 만들기 위한 숫자들의 조합을 찾아가면서 두 자릿수의 개념을 배우게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십진법의 수 체계를 어렴풋이 이해하게 되면 받아올림을 세로 셈으로 쓰고 십의자리 위에 받아올림 수 1을 쓰는 등 문제를 형식화하며 문제를 빠르게 해결한다.

이런 연산 문제를 아이가 해결할 때, 흔히 실수하는 것은 연산 과정에서 어떠한 사고도 딱히 일어나지 않는다고 아는 어른들의 부주의에 있다. 한 자리의 숫자를 이용하여 10을 만드는 것이 어른들에게는 쉽게 느껴질 수 있으나 이 과정 또한 십진법 체계를 배우는 아주 중요하고 어려운 개념으로 들어가고 있다. 갑자기 연산이 어렵더라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연산을 단순히 기술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우습게 여기는 어른들의 생각에 문제가 있다고 말하고 싶다. 고대서 이집트 문자라든지 20진법으로 나타낸 바빌로니아 문자를 보면 아이들이 생각해 볼 만한 여지가 충분히 있고, 그에 맞추어 십진법을 쓰는 이유나 편리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이제 막 십진법의 연산에 들어 온 아이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사고력 문제라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없다고 본다. 다만 사고력 문제가 문제가 아니라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만이 있을 뿐이다.

2. 사고력 수학은 호기심을 키우는 수업 방식이다.
우리 아이가 수학에 호기심이 있다면 어떨까? 수학 공부라면 괴로워하는 아이가 어떻게 호기심이 있게 할 수 있을까 싶지만 생기면 그것보다 더 좋은 학습 동기는 없다고 단언할 수 있다. 아이가 수학에 호기심을 갖게 하려면 처음에는 '할 만해야 한다' 다르게 말하면 아이 스스로 문제를 보고 이해하여 올바른 답을 낼 수 있을 만큼의 할 만한 문제들을 아이에게 한 문제씩 던져보면 좋다. 이때 지시사항을 한 번에 알 수 있는 연산 문제를 주기보다는 쉽더라도 문장이나 그림을 봐야 알 수 있는 문제들을 많지 않게 주어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여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육하는 방식에 따라 얼마든지 사고는 성장할 수 있다.

3.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체험활동  (0) 2022.09.10
초등 수학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0) 2022.09.10
한국과학영재학교 장영실 전형 대비 방법은?  (0) 2022.08.26
학원 선생님과의 상담  (0) 2022.07.27
온라인 학습의 단점  (0) 2022.07.13

댓글